본문 바로가기

공지사항

서귀포지역 단편영화제작 워크숍 개설 및 수강생 모집!! 게시물 상세보기
서귀포지역 단편영화제작 워크숍 개설 및 수강생 모집!!
등록일2016-09-19 14:34:33조회63,271

서귀포지역 단편영화제작 워크숍 수강생 모집

 

사단법인 제주영상위원회는 서귀포지역의 영상 관심 인구의 저변 확대 및 영상 전문가 육성 기반을 위한 단편영화제작 워크숍을 시행합니다. 시나리오 작법부터 후반 작업까지 단편영화 제작 일련의 과정이 워크숍으로 진행되는 이번 교육은 제주출신 모지은감독과 임찬익 감독이 서귀포지역 영상 콘텐츠 제작에 관심이 있는 도민, 학생, 영화 매니아들과 함께 오는 926()부터 1014()까지 총 10차시 45시간으로 진행되게 됩니다.

 

1. 내 용

. 강 좌 명 : 단편영화제작 워크숍

. 강 사 : 모지은 감독, 임찬익 감독

. 교육기간 : ? 시나리오 작법과정 : 2016926() 930()

? 단편영화 제작과정 : 20161010() ~ 1014()

. 교육시간 : ? 시나리오 작법과정 : 14:00 ~ 18:00(14시간), 5차시 총 20시간

? 단편영화 제작과정 : 13:00 ~ 18:00(15시간), 5차시 총 25시간

. 교육장소 : 서귀포영상미디어센터

. 대 상 : 영상콘텐츠 제작(영화 제작)을 배우고자 하는 도민 또는 학생

. 인 원 : 15(선착순 모집)

. 교 육 비 : 무료

 

2. 신청 기간 및 접수 방법

. 접수기간 : 2016919() ~ 923()

. 접수방법 : 홈페이지(www.jejumedia.com)에서 구비서류와 관련서식을 다운받아 작성하여

이메일(gmwyang@naver.com) 및 팩스(064.727-7900) 접수

. 위 치 : 서귀포시 제2청사 4(제주도 서귀포시 신중로 55 (법환동))

. 문 의 : 서귀포영상미디어센터 738-7803 (담당 양원석)

3. 교육내용

. 시나리오 작법과정

- 일시 : 2016926() 930() / 14:00 ~ 18:00(14시간) / 5차시 총 20시간

- 강사 : 모지은 감독

- 세부내용

1. 수업의 목표

시나리오의 구조와 이야기의 접근 방법을 이해하여, 제작 가능한 단편 시나리오를 집필하는 것.

 

2. 수업의 과정

수강생들이 직접 시나리오를 써보고, 각자의 시나리오를 토론하면서 더 나은 리라이팅 결과물을 낼 수 있도록 한다. 예시된 장면들을 시나리오로 바꿔보고, 그 결과물을 토론하면서 시나리오의 장면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수강생들은 각자의 이야기를 스피칭 하고, 제작가능한 단편시나리오를 직접 선발한다.

수강생들이 선발된 시나리오를 함께 토론, 분석, 아이디어 공유함으로써, 더 나은 리라이팅의 결과물을 낼 수 있도록 한다.

 

3. 수업의 이해

이 수업은 실질적인 창작수업이며 그 결과물(시나리오)을 너 나은 형태로 만들어내는 것이 목적이며, 수강생들은 이 점을 유의하여 본인이 능동적으로 창작과정에 참여할 수 있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수업은 강사의 설명과 수강생들의 직접적 창작과정(집필)이 함께 진행될 것입니다.

4. 수업의 준비물

필기 가능한 노트와 개별 노트북. 각자 USB 저장장치.

수강생들은 각자의 창작물(단편시나리오)을 수강신청 시 제출하시면, 수업의 진행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차시

/

교육내용

비고

1

9/26()

14:00~18:00

- 이야기의 구조적 접근.

- 시나리오의 이해 및 읽기.

 

2

9/27()

14:00~18:00

- 구체적 장면화의 이해. 구체적 장면화의 집필.

 

3

9/28()

14:00~18:00

- 원작을 시나리오로 집필해보기. 토론과 분석.

 

4

9/29()

14:00~18:00

- 시나리오 스피칭, 1차 선발.

 

5

9/30()

14:00~18:00

- 리라이팅. 2차 선발.

 

. 단편영화 제작과정

- 일시 : 20161010() 1014() / 13:00 ~ 18:00(15시간) / 5차시 총 25시간

- 강사 : 임찬익 감독

- 세부내용

1. 수업의 목표

역할 분담에 의해서 공동으로 단편극영화 제작 과정을 경험하고, 팀별 단편 영화를 완성해 본다.

 

2. 수업의 과정

연출, 촬영, 사운드, 편집의 이론과 실제를 배운 후에 영화 제작 과정을 경험하며 영화를 완성하는 노하우를 쌓는다

 

3. 수업의 이해

이 수업은 제작된 시나리오를 통해 실제 단편영화를 이해하는 완성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 수강생은 실제 제작현장에 필요한 역할을 각자 분임하여 맡은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수업은 주강사 1, 보조강사 1명이 투입되어 이론 및 실습이 병행됩니다.

차시

/

교육내용

비고

1

10/10()

13:00~18:00

- 실습 작품 시나리오 선정

- PRE-PRODUCTION 캐스팅, 헌팅, 역할분담, 콘티

 

2

10/11()

13:00~18:00

- 촬영 & 조명 개론 카메라 및 연기 리허설

- DSLR/HD촬영장비를 이용한 영화 촬영1

 

3

10/12()

13:00~18:00

- DSLR/HD촬영장비를 이용한 영화 촬영2

 

4

10/13()

13:00~18:00

- 보충 촬영 및 편집

 

5

10/14()

13:00~18:00

- 편집 및 색보정

- 시사 및 평가

 

  

 

교육 일정과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별첨 강사 프로필>

모지은 강사 프로필

<경력 사항>
199716mm 단편극영화 [동네여자들] 연출.

영화진흥공사 주최 "금관영화제" 장려입상, 1회서울여성영화제 단편경선 본선진출

199816mm 단편애니메이션 [지구에 소년이 살고 있다] 연출.

15회 부산단편영화제(98') 본선진출

200116mm 단편극영화 [힙합챔피온] 연출.

2002 35mm 장편극영화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줘] 연출.

1MBC영화대상 신인감독상 후보작, 5회 우디네극동영화제 초청

 

2010KBS2 TV 미니시리즈 [아이리스] 조감독.

2012년 장편 극영화 [아역배우] 시나리오.

2014년 장편 극영화 [정쌤] 시나리오.

 

그 외, 장편 극영화 스토리보드 작가 활동.

친구(2001), 결혼은 미친 짓이다(2001),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2002), 해적 디스코왕 되다(2002),

내츄럴시티(2003), 가을로(2006), 아랑(2006),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2012),

루팡3; 클레오파트라의 목걸이(2014, 8월 개봉) 등등 다수의 작품 참여.

임찬익 강사 프로필

<경력 사항>

방송

2014년 처용 연출.

 

영화

2004년 인어공주 현장편집.

2004년 꽃피는 봄이오면 현장편집.

2005년 사랑해, 말순씨 조감독

2005년 나의 결혼 원정기 현장편집, 단역

2011년 체포왕 각본,연출.

2014년 지구 최후의 날 연출

 

도서

2012년 소울플레이스 공동저자

이외다수의 작품 참여.

 

 

 

첨부 #1 수강신청서.hwp (17 KBytes)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을 게시물번호, 분류, 제목, 첨부파일 수, 등록일, 조회수로 나타낸 표입니다.
No. 분류 제목 첨부 등록일 조회
"연결에서 실행으로 2025 제주 글로벌 콘텐츠 포럼 개최" "연결에서 실행으로 2025 제주 글로벌 콘텐츠 포럼 개최"..
2025 제주콘텐츠코리아랩 JEMI 아카데미 모집 공고 2025 제주콘텐츠코리아랩 JEMI 아카데미 모집 공고..
제주 로케이션 영상 공공저작물 개방에 따른 저작권정책 제주 로케이션 영상 공공저작물 개방에 따른 저작권정책..
2025년 아시아CGI애니메이션센터 입주기업 모집 공고 2025년 아시아CGI애니메이션센터 입주기업 모집 공고..
2025 제주콘텐츠진흥원 아시아CGI애니메이션센터 우리마을 애니극장 모집 안내 2025 제주콘텐츠진흥원 아시아CGI애니메이션센터 우리마을 애니..
촬영지원장비 대여시스템 변경 안내 (2022년 7월 1일 부로 적용) 촬영지원장비 대여시스템 변경 안내 (2022년 7월 1일 부로 적용)..
2179 "연결에서 실행으로. 2025 제주 글로벌 콘텐츠 포럼 개최" "연결에서 실행으로. 2025 제주 글로벌 콘텐츠 포럼 개최"..   N 3 2025-11-19 54
2178 [교육공고] AWS 기반 ‘클라우드 워크스테이션 & A.I(ComfyUI)’교육 수강생 모집.. [교육공고] AWS 기반 ‘클라우드 워크스테이션 & A.I(ComfyUI)’..   N 2 2025-11-18 621
2177 [교육공고] 2025 웹툰 제작 역량 강화를 위한 시나리오 및 스토리텔링 수강자 모집 .. [교육공고] 2025 웹툰 제작 역량 강화를 위한 시나리오 및 스토..   N 2025-11-18 611
2176 [교육공고] 2025 웹툰 크리에이터 스킬업 교육 수강자 모집 공고.. [교육공고] 2025 웹툰 크리에이터 스킬업 교육 수강자 모집 공..   N 1 2025-11-18 591
2175 '내:일을 찾다' 청소년 영상 콘텐츠 공모전 선정 결과 공고 '내:일을 찾다' 청소년 영상 콘텐츠 공모전 선정 결과 공고..   N 2025-11-17 655
2174 [제주한라대학교 K-하이테크 플랫폼 사업단] 생성형 AI 기반 사회복지서비스 기획 과.. [제주한라대학교 K-하이테크 플랫폼 사업단] 생성형 AI 기반 사.. 1 2025-11-14 685
2173 '사람과 자연의 이야기로 세상을 잇다' 다큐멘터리 제작자 특강 수강생 모집.. '사람과 자연의 이야기로 세상을 잇다' 다큐멘터리 제작자 특강 .. 2025-11-11 973
2172 2025 제주다양성영화 생존을 위한 지원·배급 실전 매뉴얼 교육생 모집.. 2025 제주다양성영화 생존을 위한 지원·배급 실전 매뉴얼 교육생.. 2025-11-10 876
2171 [교육공고] 2025 웹툰 제작 역량 강화를 위한 시나리오 및 스토리텔링 수강자 모집 공.. [교육공고] 2025 웹툰 제작 역량 강화를 위한 시나리오 및 스토.. 2 2025-11-06 1365
2170 2025 CGI콘텐츠 제작역량 강화사업 「AI로 그리는 재주(제주) 많은 일상웹툰 제작 교.. 2025 CGI콘텐츠 제작역량 강화사업 「AI로 그리는 재주(제주) 많.. 2025-11-06 1155
2169 2025 콘텐츠 청년 인재육성 교육 「커리어 스텝업(Step-UP) 4.0」 교육생 모집.. 2025 콘텐츠 청년 인재육성 교육 「커리어 스텝업(Step-UP) 4.0.. 1 2025-11-05 1252
2168 <현장에서 배운 영화와 인생 철학> '정지영 영화감독' 특강 수강생 모집.. <현장에서 배운 영화와 인생 철학> '정지영 영화감독' 특강 수강.. 2025-11-04 1184
2167 2025 제주콘텐츠 물류비 지원사업 사업공고문(추가모집) 2025 제주콘텐츠 물류비 지원사업 사업공고문(추가모집).. 3 2025-11-04 1350
2166 <제주영화아카데미> 단편영화 제작 입문 워크숍 교육 수강생 모집.. <제주영화아카데미> 단편영화 제작 입문 워크숍 교육 수강생 모.. 2025-11-04 1250
2165 2025 CGI콘텐츠 제작역량 강화사업 AI와 함께하는 웹툰 창작 인큐베이팅 클래스 참가.. 2025 CGI콘텐츠 제작역량 강화사업 AI와 함께하는 웹툰 창작 인.. 1 2025-11-03 1336
2164 『2025 하반기 제주 로케이션 영상물 제작비 지원 사업』 공고.. 『2025 하반기 제주 로케이션 영상물 제작비 지원 사업』 공고.. 3 2025-10-27 2587
2163 2025 CGI콘텐츠 제작역량 강화사업 「AI로 그리는 재주(제주) 많은 일상웹툰 제작 교.. 2025 CGI콘텐츠 제작역량 강화사업 「AI로 그리는 재주(제주) 많.. 2 2025-10-27 2501
2162 [제주특별자치도] 그린수소 서포터즈 참여자 모집 공고 [제주특별자치도] 그린수소 서포터즈 참여자 모집 공고.. 2 2025-10-24 2756
2161 영화 '한란' 개봉 전 제주도 특별상영회 개최 안내 영화 '한란' 개봉 전 제주도 특별상영회 개최 안내.. 2025-10-23 3172
2160 [제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청년 및 중장년 노동자 보금자리 지원사업 공고.. [제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청년 및 중장년 노동자 보금자리 .. 2025-10-23 2818
1 2 3 4 5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 제주문화예술재단
  • 제주문화포럼
  • 영화진흥위원회
  •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 서울애니메이션센터
  • 한국영화인총연합회
  • 한국독립영화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