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지사항

「2013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고치부는 미디어 바람”」개최안내 및 수강생 모집 게시물 상세보기
「2013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고치부는 미디어 바람”」개최안내 및 수강생 모집
등록일2013-06-17 13:44:00조회60,357

「2013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고치부는 미디어 바람”」개최안내 및 수강생 모집

(사)제주영상위원회는 한국전파방송통신진흥원의 2013년 미디어교육 지원 사업에 공모, 선정됨에 따라 제주영상미디어센터에서 「2013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고치부는 미디어 바람”」을 실시합니다.

장애인-비장애인 맞춤형 미디어 교육 서비스를 투입하여 이질적이었던 장애인?비장애인의 벽을 허물고 같은 인격체로서 서로의 의견과 사고를 공유하면서 동반자적 관계형성을 지향하고자 합니다.

이번 교육은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교육 입문과정” 과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심화과정”으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단순히 미디어로 표현, 제작하는 커리큘럼에서 탈피하여 소수자들의 사회,문화적 권리를 일반인들과 함께 소통하며 획득하는 과정에서 장애인?비장애인이 함께 세상과의 소통창구를 마련하고, 한 단계 발전하여 교육과정 속에서 자아를 찾고 세상과의 소통을 스스로 발견할 수 있는 문화적 미디어교육 커리큘럼으로 구성, 그 효과성을 입증하여 향후 우수프로그램으로서의 타 시도에 보급할만한 모델링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제주지역 제주도내 거주하는 영상제작활동 및 미디어 교육에 관심 있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등 영상 제작 분야에 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교육일정 관련 세부교육 계획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교육개요

가) 교 육 명 :2013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고치부는 미디어 바람”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교육 입문과정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교육 심화과정

나) 주 최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다) 주 관 : (사)제주영상위원회

라) 교육기간 :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교육 입문과정

( 2013.7.2(화) ~ 8.1(목) / 매주 화, 목 / 10:00~12:00)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교육 심화과정

(2013. 8.6(화) ~ 9.10(화) / 매주 화, 목 / 10:00~12:00)

마) 교육장소 : 제주영상미디어센터 및 제주일대

바) 교육대상 : 장애인(경증지체장애) 및 사회복지사,

일반인 등 영상 제작 분야에 관심 있으신 분

□ 모집관련

가) 접수 : 2013. 06. 17(월) ~ 06. 28(금)

나) 접수방법 :

① 제주영상미디어센터 홈페이지 (http://www.jejumedia.com) 회원가입 후 수강신청

- (사)제주영상위원회 전화접수 ☎ 064-727-7801

라) 문의 : 제주영상위원회 제작교육팀 (☎ 064-727-7801)

※ 신청자가 많을 경우 조기마감 될 수 있으며 수강생 미달시 강의가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커리큘럼

교육명

일 정

세부추진내용

프로그램 1.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입문 교육

2013. 7. 2~ 8. 1

매주 화, 목

(주2회),

1일 2시간

○ 프로그램명 :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입문 교육

○ 대상 : 제주도내 거주하는 영상제작활동 및 미디교육에 관심 있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총 20명 내외

○ 장소 : 제주영상미디어센터 내 모든 시설 및 장소 적극 활용

○ 활동내용 : 미디어 제작 기초 교육 (입문)

1일차

-미디어에 대한 이해 (오리엔테이션)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교육과정 소개(프로그램안내)

- 미디어센터 체험(흥미유발)

- 장애인 미디어교육의 의미와 방향

7. 2 (화)

2일차

-장애인 인권과 소통

-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장애인 미디어 현황과 정책

- 장애인 속 미디어 권리와 책임

- 미디어 속 장애인

7. 4 (목)

3일차

- 영상미디어란

-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다양한 영상장르의 이해

- 영상제작의 이해

- 영상언어 및 표현법

7. 9 (화)

4일차

-카메라 작동법 및 촬영실기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영상으로 자기소개

- 하나의 장면을 여러컷으로 나누어 촬영하기

7. 11 (목)

5일차

기획과 스토리텔링의 이해

-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아이디어가 시나리오가 되기까지

- 스토리텔링 (구성안 작성)

7. 16 (화)

6일차

-촬영하기

-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구성안에 맞춰 촬영 및 제작

- 모둠별 제작 진행

7. 18 (목)

7일차

-편집 기초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편집의 이해

- 편집 프로그램 맛보기 (윈도우 무비 메이커, 프리미어 등)

- 편집 툴 다루기 (캡처, 자르고 붙이기, 효과주기, 자막 등)

7. 23 (화)

8일차

-보충촬영 및 편집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내레이션 대본 작성 및 녹음

- 가편집 평가 및 수정 회의

- 영상길이 및 음악 넣기

7. 25 (목)

9일차

-작품 제작 완성 및 상영 준비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효과음, 컬러, 자막, 엔딩 크레딧 등

- 상영방법 및 관객 초청 등 상영준비

7. 30 (화)

10일차

-작품 상영 및 평가

-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완성된 작품 상영 및 평가

- 질의 응답

설문 평가

- 교육 전반에 대한 교육생들의 평가

8. 1 (목)

프로그램 2.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심화 교육

2013. 8. 6 ~ 9. 10

매주 화,목(주2회),

1일 2시간

○ 프로그램명 :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심화 교육

○ 대상 : 미디어 기초반 수료자 및 심화교육을 필요로 하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총 20명 내외

○ 장소 : 제주영상미디어센터 내 모든 시설 및 장소 적극 활용

○ 활동내용 : 미디어 제작 기초 교육 (심화)

1일차

-기획과 스토리텔링의 이해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아이디어가 시나리오가 되기까지

- 이미지로 드러나는 이야기

- 이야기 전개 : 장애인 인권 및 비장애인의 장애인식 개선에 관한 소재를 중심으로

8. 6 (화)

2일차

-수집된 아이디어 및 이야기 정리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수집된 아이디어 및 이야기 정리

- 줄거리 구성 및 대본 작성

- 시간 흐름에 따라 그려보는 이야기 그림 (스토리보드 작성)

- 기획 내용에 맞는 영상장르 선택

(단편영화, 다큐멘터리, 포토에세이, 애니메이션 등 기획서 작성 및 제작)

8. 8 (목)

3일차

-영상제작 1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일정, 장소에 맞춰 촬영 및 제작

- 모둠별 제작 진행

- 촬영본 및 제작과정 점검 및 다음 일정 회의

8. 13 (화)

4일차

-영상제작 2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일정, 장소에 맞춰 촬영 및 제작

- 모둠별 제작 진행

- 촬영본 및 제작과정 점검 등

8. 20 (화)

5일차

-편집 1 / 가편집 하기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가편집하기

- 모둠별 기획서를 바탕으로 가편집

- 가편집 평가 및 수정 회의

8. 22 (목)

6일차

-편집 2 / 내레이션 대본 작성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배경 음악 및 효과음 준비

- 내레이션 대본 작성 및 녹음

8. 27 (화)

7일차

-편집 3 / 세부편집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세부 편집

- 기획서를 바탕으로 세부편집

- 영상길이 및 음악, 재촬영 계획 수립 등

8. 29 (목)

8일차

-재촬영 및 세부 편집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작품 제작 완성하기 / 재촬영하기

- 세부편집하기

- 효과음, 컬러, 자막, 엔딩 크레딧 등

9. 3 (화)

9일차

-영상마무리 및 상영준비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영상편집 마무리

- 상영회 준비

- 상영방법 및 관객 초청 등 상영준비

9. 5(목)

10일차

-영상페스티벌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작품 상영 및 평가

- 완성된 작품 상영 및 평가

- 설문 평가 등

9. 10 (화)

※ 교육 세부일정, 내용, 강사는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을 게시물번호, 분류, 제목, 첨부파일 수, 등록일, 조회수로 나타낸 표입니다.
No. 분류 제목 첨부 등록일 조회
2069 2025 글로벌 문화콘텐츠 제작지원사업 기업자율형 해외마켓 참가지원 참여기업 모집 .. 2025 글로벌 문화콘텐츠 제작지원사업 기업자율형 해외마켓 참가.. 3 2025-07-03 7510
2068 2025 글로벌 문화콘텐츠 제작지원사업 기업자율형 해외마켓 참가지원 선정 결과 공고.. 2025 글로벌 문화콘텐츠 제작지원사업 기업자율형 해외마켓 참가.. 1 2025-07-03 7796
2067 <2025 JEMU BUSKING SHINHWA> 예선심사 결과 알림 <2025 JEMU BUSKING SHINHWA> 예선심사 결과 알림 2025-07-03 6970
2066 2025 만화 및 웹툰 번역 지원사업 선정결과 공고 2025 만화 및 웹툰 번역 지원사업 선정결과 공고.. 1 2025-07-02 6950
2065 2025 만화출판 지원사업 선정결과 공고 2025 만화출판 지원사업 선정결과 공고 1 2025-07-02 7112
2064 2025 웹툰제작 지원사업 선정결과 공고 2025 웹툰제작 지원사업 선정결과 공고 1 2025-07-02 6660
2063 신규미디어강의공모사업 chatGPT와 함께하는 스마트 숏폼 영상 만들기 교육 수강생 모.. 신규미디어강의공모사업 chatGPT와 함께하는 스마트 숏폼 영상 .. 1 2025-07-01 7001
2062 서귀포 콘텐츠 기반 활성화를 위한 <더빙 체험 : 나도 애니 주인공> 프로그램 시행.. 서귀포 콘텐츠 기반 활성화를 위한 <더빙 체험 : 나도 애니 주.. 2025-07-01 7733
2061 『2025 상반기 제주 로케이션 영상물 제작비 지원 사업』 공고.. 『2025 상반기 제주 로케이션 영상물 제작비 지원 사업』 공고.. 3 2025-07-01 9568
2060 2025 제주 콘텐츠 청년 일자리 빌드업 지원사업 심사결과 알림.. 2025 제주 콘텐츠 청년 일자리 빌드업 지원사업 심사결과 알림.. 2025-06-27 8888
2059 제주콘텐츠코리아랩 운영사업 '콘텐츠 인재 육성 프로그램 운영 용역' 제안서 평가 결.. 제주콘텐츠코리아랩 운영사업 '콘텐츠 인재 육성 프로그램 운영 .. 2025-06-25 8463
2058 2025 커뮤니티 시네마 지원 재공고 2025 커뮤니티 시네마 지원 재공고 3 2025-06-24 8602
2057 2025 김명수도서관 마을도서관 활동가 모집공고 (2차) 2025 김명수도서관 마을도서관 활동가 모집공고 (2차).. 3 2025-06-20 9161
2056 2025 글로벌 문화콘텐츠 제작지원사업 기업자율형 해외마켓 참가지원 참여기업 모집 .. 2025 글로벌 문화콘텐츠 제작지원사업 기업자율형 해외마켓 참가.. 3 2025-06-20 8947
2055 [제주더큰내일센터] 탐나는 인재 11기 모집 [제주더큰내일센터] 탐나는 인재 11기 모집 1 2025-06-20 9853
2054 2025 커뮤니티 시네마 지원 결과공고 2025 커뮤니티 시네마 지원 결과공고 2 2025-06-17 9787
2053 「2025 제주관광 콘텐츠+ 밸류업 지원사업」 추가모집 공고 「2025 제주관광 콘텐츠+ 밸류업 지원사업」 추가모집 공고.. 3 2025-06-17 9275
2052 「2025 제주관광 콘텐츠+ 밸류업 지원사업」 추가모집 공고 「2025 제주관광 콘텐츠+ 밸류업 지원사업」 추가모집 공고.. 3 2025-06-17 9628
2051 2025 제주음악창작소 운영사업 <음반 제작지원 프로그램> 선정결과 알림.. 2025 제주음악창작소 운영사업 <음반 제작지원 프로그램> 선정결.. 1 2025-06-16 9554
2050 2025 제주관광 콘텐츠+ 밸류업 지원사업 심사결과 알림 2025 제주관광 콘텐츠+ 밸류업 지원사업 심사결과 알림.. 1 2025-06-13 10371
6 7 8 9 10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 제주문화예술재단
  • 제주문화포럼
  • 영화진흥위원회
  •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 서울애니메이션센터
  • 한국영화인총연합회
  • 한국독립영화협회